언제나 어디서나, 스마트라이프를 위한 매거진

2025년 사우디국부펀드 관련주 및 구조, 포트폴리오 정리

2025년 사우디국부펀드 관련주 정리 및 구조, 포트폴리오

🧐사우디 국부펀드(PIF)란 무엇인가?

사우디 국부펀드 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운영하는 국가 투자펀드이자, 공공투자기금(Public Investment Fund)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것으로, 1971년에 설립되어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등 오일머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이를 구조적으로 타파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산업 및 국내 부동산 경기 부양 등의 정책을 집중하여 지속가능하고 경제적인 번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IF의 구조와 포트폴리오는?

사우디국부펀드 (이하 ‘PIF’)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PIF의 구조는 사우디아라비아 현 왕세자이자 권력서열 2위인 무함마드 빈 살만이 PIF의 의장을 맡고 있으며, 알루마얀 총재와 함께 경영 및 주요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PIF는 정부에서 독립적인 투자 조직으로, 직접적인 투자 결정을 내릴 권한을 보유하되, 정부 정책 방향과 전략을 긴밀하게 반영하면서 운용된다. 주요 의사결정 체계는 거시적 전략을 설정하는 이사회, 투자기금을 집행하는 집행 위원회, 투자처를 찾는 내부 투자 전문가 팀, 해외에 상주하여 시장을 모니터링하는 해외 지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IF는 뉴욕 등에 거점 사무실을 설립하여 사우디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 글로벌 투자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사우디의 사실상 ‘밥줄’인 사우디 아람코의 상장관리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

PIF의 포트폴리오
PIF의 투자 포트폴리오의 3/1은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헤지펀드 등 대체투자자산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전통적인 서방국가인 미국, 유럽 뿐만 아니라 아시아 국가 등에 대해서도 해외기업 지분투자에 적극적이며, 대표적으로 전기차 기업인 루시드 사, 공유차량 플랫폼인 우버, 글로벌 게임사 EA 등에 대규모 투자해 주요 주주 지위를 확보하고 있고

최근, 일렉트로닉 아츠 인수를 추진하여 우리돈 약 77조원에 달하는 550억 달러에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만약 인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면, 2027년 회계연도 1분기 이내에 완료될 예정이며, 주당 210달러에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EA 주가를 가지고 있는 주주들은 주당 210달러의 현금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최근에 사우디의 관심사는 AI를 포함한 첨단기술 쪽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으로 유명한 메타 사와 페이팔, 중국 알리바바와 미국 쇼피파이 등 지분을 전량 매각하고, 엔비디아와는 AI 전문 자회사인 Humain을 통해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데 추진하고 있다.

영역주요 파트너사 및 투자대상세부 내역/특징
GPU·AI칩엔비디아, AMD엔비디아와 공식 파트너십 및 1만8천개 이상 블랙웰 칩, AMD 반도체 공급
서버·HW슈퍼마이크로DataVolt(사우디 최대 데이터센터社) 서버 납품(200억 달러 규모)
SW·클라우드오라클, 구글(알파벳), 세일즈포스오라클·알파벳·세일즈포스 등 800억 달러 이상 투자 참여, 구글과 사우디 AI 허브 공동설립
스타트업·신규 AI오픈AI‘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포함, 수십조원 투자 협상 추진
국내외 AI 전문기업리벨리온, 퓨리오사AI(한국)사우디·아람코 데이터센터에 NPU·경쟁형 AI칩 신규 공급
인프라 건설AECOM, JAbovs, Parsons, Hill사우디의 The Vault·키디야·킹살만국제공항 등 AI 인프라 건설 참여업체
섹터대표 포지션 및 투자기업(일부)
IT/AI엔비디아, 오라클, 메타,
알파벳, 보잉, 테슬라
게임/콘텐츠EA(피파), 닌텐도,
액티비전블리자드, 엔씨, 넥슨, 사비 게임즈
모빌리티루시드, 시어, 우버
인프라/에너지아람코, ACWA 파워,
마라픽, 사우디전력회사
금융씨티, 뱅크오브아메리카,
리야드은행,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스포츠/레저뉴캐슬 유나이티드,
SRJ Sports, 크루즈 사우디, 부티크 그룹
국내 신성장네옴 신도시, 레드씨, 키디야, 카카오엔터

PIF의 2024-2025년 기준, 주요 투자 섹터 및 대표기업은 위의 표와 같다.

  1. IT기술/AI분야
    – 엔비디아, 메타, 알파벳, 오라클, 보잉, 테슬라
  2.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사업 분야
    – EA, 닌텐도, 엔씨소프트, 넥슨, 액티비전블리자드
  3. 모빌리티 분야
    – 루시드 모터스, 시어, 우버
  4.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
    – 사우디 아람코, ACWA, 마라픽, 사우디전력회사
  5. 금융 및 벤처투자 분야
    –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리야드은행, 알린마, 블랙스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6. 스포츠-레저-관광 분야
    – 뉴캐슬 유나이티드, SRJ, 크루즈 사우디, 부티크 그룹
  7. 기타 주요 국내-해외 투자기업
    – 디즈니, BP, 버크셔 해서웨이, 월트디즈니,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PIF의 최근 포트폴리오 변화-동향은?

PIF의 주요 자산배분의 총 운용자산은 약 9,130억 ~ 1조 달러로
2025년에는 1.15조 달러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 금액만해도
1,400조원에 달해 대한민국의 1년 정부 예산의 2-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PIF는 사우디 국내에 투자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사우디 아람코 지분을 8% 추가 이전하고, 네옴 등 대형 건설 프로젝트에 자산을 편중하고 있으며, 기존에 해외지분등을 대거 매각하는 등 기존 30%에서 18~20% 수준으로 삭감하고 있다.

대신, 안정적인 배당주나 현금흐름이 좋은 신흥시장, 인프라, 에너지 주에 특화하여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다. 사우디 비전2030에 연계하여 국내 실물-신성장 프로젝트 중심으로 기조가 크게 바뀌고 있으며, 해외포트폴리오 관리도 보다 장기적-안정적인 위주로 전환하고 있다는 것이 최근 PIF의 동향이다.

구분2024~2025년 비율(추정)
사우디 내 투자60~80%
해외 투자20~40% (2025년 목표: 20% 이하)
상장/비상장 주식~52%
사모·대체투자~33%
기타(채권·현금 등)~15%

🕶️ PIF의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

최근 5년간인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PIF의 수익률은
기존 운용자산이 약 5천억 달러에서 시작되었다가 2024년 9,130억
달러로 증가하는 등 연평균 8.7%의 수익률을 자랑하고 있다.

2017년 출범 이후 2023년까지
연평균 수익률 8.7%로 양호한 수익률을 보였으나, 2024년 일부 프로젝트가 손상 차손 및 운영비용이 증가하면서 7.2%로 하락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IF는 2년 연속 세계 1위 브랜드로 선정되고,
신용평가사 무디스와 피치로부터 Aa3 및 A+ 안정적 등급을 유지하는 등 기관 및 개인투자자라면 PIF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해볼만 하다고 할 수 있다.

💸 AI 시대에서의 PIF

인공지능 관련주에 대한 열풍이 거세다. 사우디-PIF는 AI 및 데이터센터 분야에 대한 대규모 전략적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우선 PIF 내의 AI전문 자회사인 HUMAIN(휴메인)을 설립하여
AI 투자 플랫폼으로서 글로벌 AI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구축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향후 AI의 핵심 역량의 근간이 될 데이터센터 투자에 적극적이다.
500MW급 초대형 AI데이터센터와 AI팩토리 구축 계획을 밝히고, 사우디 내에 본격적인 차세대-AI 클라우드 인프라 허브화를 추진 중에 있다. 데이터센터 인프라 누적 총 투자규모는 1천억 달러이며, 2025년까지 데이터센터 2,200MW 용량 확보가 목표이다.

아래는 2024-2025년 글로벌 파트너사이다.

구분주요 파트너사 및 투자기업특징 및 세부내용
GPU·서버엔비디아(Nvidia), AMD, 슈퍼마이크로(SMCI)엔비디아·AMD 공식 파트너십, 슈퍼마이크로 대규모 서버 공급 계약
데이터센터 인프라DataVolt, SCAIDataVolt(사우디 최대), SCAI(국가 AI회사) 자회사로 초대형 인프라 구축
클라우드/SW오라클, 알파벳(구글), 세일즈포스800억달러 규모 투자 협력, 구글과 공동 AI 허브 설립
생성AI오픈AI,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수십조원 투자 협상 및 MENA거점 성장
국내 AI 스타트업리벨리온, 퓨리오사AI트렌드선도 AI칩, 사우디 대형데이터센터 공급
인프라/엔지니어링AECOM, Parsons 등사우디 메가프로젝트(The Vault, 키디야, 공항 등) AI 접목


사우디는 PIF를 통하여 글로벌 AI벤더 및 국내외 핵심 기술기업과 함께 직접 파트너십 및 공동펀드, 클라우드, 반도체 등 올인원 생태계를 지향하며, 미국이나 한국 등 세계 각국 스타트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error: 이 콘텐츠는 포켓O의 콘텐츠입니다.